본문 바로가기
정보

"타닥탁 😫" 시끄러운 키보드 소음, 키보드 흡음재로 완벽하게 해결하는 특급 가이드!

by 154fjkasjfsf 2025. 10. 2.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참고 하세요~

 

더 자세한 자료 바로보기

 

"타닥탁 😫" 시끄러운 키보드 소음, 키보드 흡음재로 완벽하게 해결하는 특급 가이드!
배너2 당겨주세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타닥탁 😫" 시끄러운 키보드 소음, 키보드 흡음재로 완벽하게 해결하는 특급 가이드!

 

목차

  1. 키보드 소음, 왜 발생할까? 흡음재가 필요한 이유
  2. 키보드 흡음재, 종류별 특징과 장단점 파헤치기
  3. 키보드 흡음재 선택 시 고려해야 할 핵심 요소
  4. 키보드 흡음재 장착: 따라 하기 쉬운 단계별 가이드
  5. 흡음재 외, 키보드 소음을 추가로 줄이는 꿀팁

키보드 소음, 왜 발생할까? 흡음재가 필요한 이유

많은 사람이 기계식 키보드의 타건감(打鍵感, Typing Feel)을 좋아하지만, 그만큼 따라오는 소음은 주변 사람들에게 불편함을 주거나, 집중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키보드 소음은 주로 키캡을 누를 때 발생하는 스위치 작동음 외에도, 스위치가 하우징(본체) 바닥을 치면서 발생하는 하우징 공진음통울림(Case Resonance) 때문에 커집니다. 특히, 키보드 내부의 빈 공간에서 소리가 울려 퍼지면서 '통통'거리는 듣기 싫은 소리가 증폭되는데, 이를 잡는 것이 바로 키보드 흡음재의 주된 역할입니다.

키보드 흡음재는 키보드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어 소리의 울림을 줄이고, 불필요한 공진음을 흡수하여 소음의 크기를 낮추고, 타건음을 더욱 단단하고 정갈하게(Thocky Sound)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흡음재는 단순히 소음을 줄이는 것을 넘어, 키보드의 타건음 품질 자체를 향상시키는 핵심적인 튜닝 요소입니다. 흡음재가 없다면 소리가 하우징 내부에서 계속 반사되지만, 흡음재가 그 반사를 막아주어 소리를 깔끔하게 정리해 줍니다.


키보드 흡음재, 종류별 특징과 장단점 파헤치기

키보드 흡음재는 재질과 사용 부위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각 고유의 장단점과 소음 제거 효과를 가집니다.

1. 하부 하우징 흡음재 (Case Foam)

  • 재질: 주로 EVA, PORON, PE 폼(폴리에틸렌) 등이 사용됩니다.
  • 특징: 키보드 하우징 바닥에 깔아 내부 빈 공간을 채워 통울림을 가장 효과적으로 잡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 PORON 폼: 가장 대중적이며 흡음력이 뛰어나고 부드러워 내부 부품 간의 유격(유격, Clearance)도 잘 채워줍니다.
    • EVA 폼: 비교적 단단하고 가격이 저렴하며 안정적인 흡음 효과를 보여줍니다.
    • PE 폼: 발포 플라스틱 재질로 가볍고 우수한 탄성을 가집니다.
  • 장점: 키보드 소음의 근원인 통울림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여 타건음을 깔끔하게 만듭니다.
  • 단점: 일부 커스텀 키보드가 아닌 기성품의 경우, 하우징을 분해해야만 장착할 수 있습니다.

2. 기판/보강판 흡음재 (Plate/PCB Foam)

  • 재질: 주로 PORON 폼 또는 얇은 IXPE(발포 폴리에틸렌) 폼을 사용합니다.
  • 특징: PCB(기판)와 보강판(Plate) 사이에 끼우는 얇은 폼입니다. 스위치를 누를 때 발생하는 미세한 진동을 흡수하여 소리의 잔향(殘響, Reverb)을 줄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특히 스위치 아래 공간을 채워 '뚜껑 소리(Ping Sound)'와 같은 고주파 소음을 효과적으로 줄여줍니다.
  • 장점: 고음역대의 잡음을 줄이고, 타건 시 발생하는 소리를 더 단단하고 조밀하게(Thocky) 만듭니다.
  • 단점: 장착을 위해 스위치와 키캡을 모두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3. 스위치 필름 (Switch Films)

  • 재질: 폴리카보네이트(PC), HTV 등
  • 특징: 스위치 하우징 상/하부 사이에 끼워 스위치 하우징 간의 유격을 줄이는 얇은 필름입니다. 스위치 자체의 흔들림을 잡아주어 잡소리를 줄여줍니다.
  • 장점: 스위치 작동 시 발생하는 미세한 잡음과 '짤깍'거리는 소리를 줄여 스위치 작동음을 안정시킵니다.
  • 단점: 모든 스위치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스위치를 분해해야 하는 고난도의 작업이 필요합니다.

키보드 흡음재 선택 시 고려해야 할 핵심 요소

최적의 키보드 흡음재를 선택하고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다음 세 가지 요소를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1. 키보드의 구조와 흡음재 호환성

  • 기판 체결 방식: 키보드가 핫스왑(Hot-Swap) 방식인지, 아니면 납땜 방식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핫스왑 방식이라면 스위치 제거가 용이해 기판/보강판 흡음재 장착이 비교적 쉽습니다.
  • 하우징 공간: 키보드 하부 하우징에 흡음재를 넣을 충분한 공간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너무 두꺼운 흡음재를 무리하게 넣으면 기판이 변형되거나 하우징이 제대로 닫히지 않을 수 있습니다. 공간이 좁다면 비교적 얇은 PORON 폼이나 PE 폼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원하는 타건음 성향

  • 단단하고 낮은 소리(Thocky): PORON이나 EVA와 같은 두꺼운 하부 흡음재와 IXPE 기판 흡음재를 함께 사용하면 울림이 적고 묵직한 타건음을 얻기 쉽습니다.
  • 경쾌하고 정갈한 소리(Clacky): 흡음재를 아예 사용하지 않거나, 흡음력이 낮은 얇은 PE 폼이나 스위치 필름만 사용하여 소리를 크게 죽이지 않고 스위치 본연의 소리를 살리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3. 흡음재의 두께와 밀도

  • 두께: 두꺼울수록 흡음력이 좋지만, 앞서 말했듯이 하우징 공간을 확인해야 합니다. 하부 흡음재는 보통 3mm5mm가 주로 사용되며, 기판 흡음재는 0.5mm1mm 두께가 일반적입니다.
  • 밀도: 밀도가 높을수록 소리를 더 잘 흡수하지만, 그만큼 타건음이 먹먹해질 수 있습니다. PORON은 밀도가 높고 흡음력이 좋으며, PE 폼은 밀도가 비교적 낮아 소리를 덜 먹는 편입니다.

키보드 흡음재 장착: 따라 하기 쉬운 단계별 가이드

키보드 흡음재 장착은 어렵지 않지만,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하부 하우징 흡음재 장착을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1. 키보드 분해 준비

  • 도구 준비: 키캡 리무버, 스위치 리무버, 드라이버, 그리고 흡음재(하부 폼, 기판 폼 등)를 준비합니다.
  • 키캡/스위치 제거: 키캡 리무버로 모든 키캡을 제거하고, 핫스왑 키보드라면 스위치 리무버를 사용하여 스위치를 모두 분리합니다.

2. 하우징 분리 및 청소

  • 하우징 분리: 키보드 뒷면의 나사를 풀거나, 키보드 종류에 따라 숨겨진 걸쇠를 해제하여 키보드 상/하부 하우징을 조심스럽게 분리합니다. 케이블(USB C타입 등)이 연결된 경우가 있으므로 무리하게 당기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내부 확인 및 청소: 내부 기판에 먼지나 이물질이 있는지 확인하고 깨끗하게 닦아줍니다.

3. 흡음재 장착 (하부 폼)

  • 흡음재 재단: 키보드 하우징 바닥 크기에 맞춰 준비한 하부 하우징 흡음재를 재단합니다. USB 포트나 나사 구멍, 스태빌라이저 위치 등을 피해 정확하게 재단해야 합니다.
  • 장착: 재단한 흡음재를 하부 하우징 바닥에 깔아줍니다. 이때, 흡음재가 기판에 닿아 쇼트(합선)를 일으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시중에 판매되는 전용 흡음재는 보통 정확한 규격으로 재단되어 나옵니다.

4. 기판/보강판 흡음재 장착 (선택 사항)

  • 기판 폼 장착: PCB(기판) 위에 기판 흡음재(PCB 폼)를 올려줍니다. 이때 흡음재의 구멍과 스위치 홀이 정확히 일치하도록 위치를 잡습니다.

5. 재조립 및 테스트

  • 재조립: 분해의 역순으로 하우징을 다시 닫고 나사를 조립합니다. 너무 세게 조이면 하우징이 변형될 수 있으니 적당한 힘으로 조입니다.
  • 테스트: 키보드를 연결하여 모든 키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통울림이 얼마나 줄었는지 타건을 통해 확인합니다. 흡음재 장착 후 타건음이 훨씬 정갈해진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흡음재 외, 키보드 소음을 추가로 줄이는 꿀팁

키보드 흡음재는 소음 해결의 핵심이지만, 다른 튜닝 방법을 병행하면 더욱 완벽한 저소음 환경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1. 스위치 윤활 (Lubrication)

  • 효과: 스위치 내부 마찰을 줄여 슬라이더 마찰음(Scratchiness), 스프링 소리(Spring Ping) 등 거의 모든 작동 잡음을 제거하는 데 가장 효과적입니다.
  • 방법: 스위치를 분해하여 슬라이더, 하우징, 스프링 등에 키보드용 윤활제(대표적으로 Krytox 205g0)를 얇게 도포합니다.

2. 스태빌라이저 튜닝 (Stabilizer Tuning)

  • 효과: 쉬프트, 스페이스바, 엔터 등 긴 키에서 발생하는 철심 소리(Rattle)를 근본적으로 제거합니다.
  • 방법: 스태빌라이저 철심과 하우징 접촉 부위에 윤활제를 충분히 바르고, 수평 잡기(Balancing) 작업을 통해 철심의 흔들림을 최소화합니다. 테프론 테이프(Band-Aid Mod)를 스태빌라이저 하우징이 닿는 기판 부분에 붙여 소음을 추가로 줄일 수도 있습니다.

3. 스위치 패드 장착 (Switch Pads, PE Foam Mod)

  • 효과: 스위치 바닥이 PCB에 닿는 충격을 완화하고 미세한 진동을 흡수합니다. 기판/보강판 흡음재와 비슷한 역할을 하지만, 개별 스위치 아래에 붙여 소리를 더욱 명료하게 만듭니다.
  • 방법: PCB에 부착하는 얇은 패드(일명 PE 폼 모드)를 각 스위치 홀 아래에 부착합니다.

4. 저소음 스위치 사용 (Silent Switches)

  • 효과: 스위치 내부의 댐퍼(Damper)가 소리를 원천적으로 줄여주어 가장 드라마틱한 저소음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방법: 스위치를 저소음 축(예: 저소음 적축, 저소음 갈축 등)으로 교체합니다. 이는 흡음재와는 별개로 소음 자체를 최소화합니다.

이러한 키보드 흡음재 해결 방법과 추가 튜닝을 통해 당신의 키보드는 주변 방해 없이 오직 당신의 손맛만을 만족시키는 완벽한 타건감을 제공할 것입니다. 이제 시끄러운 키보드 소음에서 벗어나 더욱 쾌적한 타이핑 환경을 구축해 보세요.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파란박스 클릭!

 

더 자세한 자료 바로보기